목록하나님의 주권 (The Sovereignty of GOD) (97)
En Hakkore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우리의 태도 4. 깊이 감사하며 기뻐하는 태도를 취해야 한다. 우리는 성부에 대한 성자의 절대 복종에 대해 뭐라고 말해야 하는가? 우리가 할 수 있는 말은 둘 사이에 완전한 조화가 있었다는 것뿐이다. 주님은 "내가 하늘에서 내려온 것은 내 뜻을 행하려 함이 아니요 나를 보내신 이의 뜻을 행하려 함이니라"(요 6:38)고 말씀하셨다. 주님의 길을 성경이 제시하는 그대로 주의 깊게 따르는 자는 누구든지 그분이 이 주장을 완전히 실증하셨다는 것을 안다. 겟세마네를 기억하라! 아버지께서 쓴 잔을 아들에게 내미신다. 예수님의 태도를 주의 깊게 생각해 보라.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신 분에게서 배워라. 기억하라. 우리는 겟세마네 동산에서 육신이 되신 말씀, 완전히 인간이신 분을 본다. 그분의 몸..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우리의 태도 4. 깊이 감사하며 기뻐하는 태도를 취해야 한다. 하나님의 주권을 깨달은 마음에서 나오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대상에 대한 우울한 복종과는 전혀 다르다. 이 세상은 기껏해야 나쁜 상황을 최대한 활용하는 정도밖에 모른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은 전혀 다르다. 하나님의 주권을 깨달으면 우리의 내면에서 경건한 두려움과 순종과 복종이 일어날 뿐 아니라 시편기자처럼 고백하게 된다. "내 영혼아 여호와를 송축하라 내 속에 있는 것들아 다 그의 거룩한 이름을 송축하라"(시 103:1).♡ 사도 바울이 "범사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항상 아버지 하나님께 감사하라"(엡 5:20)고 말하지 않는가? 그러나 안타깝게도 우리 영혼의 상태가 자주 테스트를 받는다. 우리는 일이 자신의 바..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우리의 태도 3. 하나님의 주권을 진정으로 이해하면, 그분을 향한 불평이 모두 사라진다. 이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이 부분은 좀더 깊이 살펴보아야 한다. 고통과 잃음에 대한 불평은 어쩌면 당연하다. 마음을 쏟았던 것을 빼앗겼을 때, 투덜거림은 어찌 당연하다. 우리는 자기 소유를 무조건 자기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자기 계획을 성실하게 훌륭히 해냈을 때, 성공했다는 소리를 들을 자격이 있다고 느낀다. 우리는 부지런히 노력해 상당히 축적했을 때, 그것을 지키고 누려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행복한 가정이 우리를 두를 때, 우리는 그 어떤 권력도 법적으로 아름다운 울타리를 침범하고 사랑하는 사람을 쓰러뜨릴 권한이 없다고 느낀다. 이 중에서 어느 한 부분에서라도 실망하게..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우리의 태도 1. 경건한 두려움을 갖는 태도를 취해야 한다 왜 이 시대 사람들은 영적이며 영원한 것에 그렇게 무관심하고, 하나님보다 쾌락을 더 사랑하는가? 왜 전쟁터의 많은 군인이 자기 영혼의 복락에 그렇게 무관심한가? 왜 하나님께 대한 도전이 더 공개적이고, 더 노골적이고, 더 대담해지는가? 그 대답은 이것이다. "그들의 눈앞에 하나님을 두려워함이 없느니라"(롬 3:18). 다시 말해 왜 최근의 성경의 권위가 바닥에 떨어졌는가? 왜 주님의 제자라는 사람들 중에 그분의 말씀에 진정으로 복종하는 사람이 좀처럼 보이지 않는가? 왜 성경의 가르침을 이다지도 가볍게 여기고 쉽게 팽개쳐 버리는가? 안타깝다! 이 시대에 강조해야 할 점이 있다면, 하나님은 경외(두려워)해야 할 분이시라는 사실이..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우리의 태도 지금까지 놀라운 진리를 다양한 방향에서 살펴보았다. 이제 이 장에서는 이러한 진리를 실제로 적용하는 문제를 간략히 살펴보겠다. 하나님의 말씀의 모든 진리는 우리에게 정보뿐 아니라 영감을 주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성경을 우리에게 주신 목적은 무익한 호기심을 채워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신자들의 영혼을 가르치기 위해서이다. 하나님의 주권은 하나님의 통치 이유를 설명하는 추상적인 원리에 불과하지 않다. 하나님의 주권은 경건한 두려움(히 12:28 '경건함과 두려움')의 동기이다. 하나님이 자신의 주권을 계시하신 목적은 우리의 의로운 삶을 촉진하고 우리의 거역하는 마음을 복종시키기 위해서이다. 하나님의 주권을 진정으로 인식하면, 우리는 어느 때보다 마음이 겸손해지며, 하나님 앞에..
하나님의 주권과 기도 우리에게 기도를 명하신 이유 2 진정한 기도는 하나님과의 교제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도에는 필연적으로 하나님의 마음과 우리의 마음 간에 공통된 생각이 있다. 하나님이 우리의 마음을 그분의 생각으로 채우셔야 한다. 그러면 하나님의 바람이 우리의 바람이 되고, 우리의 바람은 다시 그분에게로 흘러간다. 바로 여기서 하나님의 주권과 그리스도인의 기도가 만난다. 우리가 무엇이든 하나님의 뜻대로 구하면, 하나님이 들으신다. 우리가 하나님의 뜻대로 구하지 않으면, 하나님은 듣지 않으신다. 야고보서 4장 3절은 이렇게 말한다.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하기 때문이라." 그러나 주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무엇이든지 아버지께 구하는 것을..
하나님의 주권과 기도 우리에게 기도를 명하신 이유 1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뜻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의 부르짖음으로 그분의 뜻을 바꾸지 못한다. 어떤 백성에게 선을 베푸시는게 하나님의 마음이 아닐 때, 아무리 중요한 사람이 아무리 뜨겁고 끈질기게 기도해도 그분의 마음을 그 백성에게 돌리지 못한다.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모세와 사무엘이 내 앞에 섰다 할지라도 내 마음은 이 백성을 향할 수 없나니 그들을 내 앞에서 쫓아 내보내라"(렘 15:1). 약속의 땅에 들어가길 구했던 모세의 기도도 비슷한 경우다. 기도에 관한 우리의 시각을 고쳐 기도에 관한 성경의 가르침과 조화를 이루게 해야 한다. 이 시대에 널리 퍼진 기도 개념은 이런 것이다. 기도란 내가 하나님께 나아가 내가 원하는 바를 구하는 것이며,..
하나님의 주권과 기도 우리에게 기도를 명하신 이유 3. 하나님은 우리의 필요를 자신에게 구할 수 있게 하려고 기도를 명하셨다. 하나님이 시간 속에서 일어날 모든 일을 창세 전에 예정해 놓으셨다면, 우리의 기도가 무슨 소용이 있는가? "만물이 주에게서 나오고 주로 말미암고 주에게로 돌아감이라"(롬 11:36)는 말씀이 참이려면, 왜 우리가 기도해야 하는가? 이 물음에 직접 답하기 전에, 이렇게 물을 이유도 충분하다. "하나님이 이미 다 아신다면, 내가 굳이 하나님께 아뢰는게 무슨 소용이 있는가? 하나님이 내 모든 필요를 이미 다 아신다면, 내가 그 필요를 채워달라고 구하는 게 무슨 소용이 있는가?" 기도는, 마치 하나님이 모르시는 것처럼 그분께 정보를 주는 게 아니다. 기도는 하나님이 우리의 필요를 아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