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 Hakkore

[영적인 구원 62] 사중(四重)구원 본문

성장시리즈/영적인 구원 (Doctrine of Salvation)

[영적인 구원 62] 사중(四重)구원

En Hakkore 2024. 4. 14. 08:26

서론 2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구원의 세 가지 단계를 서로 혼동함으로써 이런 구별을 무시한다. 어떤이는 한 가지만 옹호하고, 나머지 둘에 대해서는 반대 의견을 말한다. 그 반대인 사람도 있다. 어떤이는 자신들이 이미 구원받았다고 주장하면서 지금 구원되고 있다는 것을 부인한다. 또 어떤이는 구원은 전적으로 미래에 있다고 단언하고 어느 정도는 이미 성취되었다는 것을 믿지 않는다. 둘 다 틀리다.

신앙을 고백하는 대다수의 그리스도인들은 성경의 어느 곳에서나 '구원' 이라는 가장 포괄적인 용어 중의 하나로서, 예정, 중생, 칭의, 성화, 영화를 포함한 의미라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그들은 성경에 사용되어진 '구원'이라는 단어의 의미와 영역에 대한 개념을 훨씬 더 제한해 왔다. 그 범위를 지나치게 한정함으로써, 일반적으로 그들의 생각을 오로지 단순한 일면에 국한시키고 있다.

그들은 '구원'이 단지 죄에 대한 용서나 신생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만약 어떤이가 그들에게 구원이라 시간이 많이 요구되는 과정이라고 말한다면, 그들은 의아스럽게 그를 바라볼 것이고, 또 구원이란 장래에 우리에게 성취될 어떤 것이라고 주장한다면, 그들은 그를 곧바로 이단자라고 불렸을 것이다. 그러나 잘못을 저지른 자는 바로 그들 자신인 것이다.

"당신은 구원받았소?" 라고 평범한 그리스도인에게 물어보라. 그러면 그는 "예, 나는 이러이러한 해에 구원받았소"라고 말한다. 이것은 이 구원이라는 주제에 대해 자기가 생각한 바를 말한 것뿐이다. "당신의 구원은 무엇에 의존하고 있소?" 라고 질문해 보라. 그러면 그리스도의 완성된 사역"이라고 대답한다. 그러한 제 나름대로의 대답이 너무나 불완전하다고 그에게 말해 주라. 그러면 그는 당신의 비방에 매우 분개할 것이다.

이제 널리 팽배해 있는 혼란의 실재로서, 우리는 빌립보서 2:12에 대한 소고(小考)에서 다음을 인용코자 한다. "명령은 누구에게 하신 것인가? 그 서신의 첫머리에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 성도들에게'라고 되어 있다... 즉 그 수신자들은 모두 믿는 자들일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이미 구원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구원을 위해 할 일이 없다"라고 그 책에서는 주장한다.

오늘날 그러한 진술이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것은 서글픈 일이다. 어떤 '성경 교사'는 우리에게, "너 자신을 구원하라"(딤전 4:16)라는 구절은 디모데가 이미 영적으로 구원받은 자이기 때문에 그의 육체적 병을 고치라는 말씀이라고 가르치고 있다. 그러나 그가 그 당시 구원을 받아가는 과정에 있었으며, 장차 구원을 받게 될 소망 가운데 있었다는 것도 사실이다.

우리가 인용한 첫 세 구절을 보충하여 이제 각각의 구원에 대한 명백한 시기를 정확하게 설명한 다른 구절들을 신약 성경에서 찾아 보도록 하자.

첫째, 성취된 사실로서의 구원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눅 7:50), "너희가 그 은혜를 인하여 구원을 얻었다"(엡 2:8), "우리를 구원하시되 그의 긍휼하심을 좇아서 하셨다"(딛 3:5).

둘째, 현재 과정으로서의 구원

이것은 아직 완성되지는 않았으나 성취되어 가는 단계에 있다. "구원을 얻는 우리에게는"(고전 1:18), "영혼을 구원함에 이르는(이미 '구원 받았다'는 뜻이 아님) 믿음을 가진 자니라"(히 10:39).

세째, 미래 소망으로서의 구원

"...구원 얻을 후사들을 위하여 섬기라고 보내심이 아니뇨"(히 1:14), "능히 너희 영혼을 구원할 바 마음에 심긴 도를 온유함으로 받으라"(약 1:21). "...말세에 나타내기로 예비하신 구원을 얻기 위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능력으로 보호하심을 입었느니라"(벧전 1:5).

이리하여 이처럼 각기 다른 구절들을 함께 묶어봄으로써, 우리는 우리 다음 진술을 공식화하는데 정당한 근거를 가지게 된다. 즉 모든 신실한 그리스도인들은 이미 구원받았고, 현재 구원받아 가고 있으며, 장차 구원받게 될 것이다. 앞으로 우리는 구원받는 방법과 어디에서 구원받았는가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Arthur W. Pink 영적인 구원 p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