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 Hakkore

[The Life of David163] 므비보셋에게 친절을 베풂 1(사무엘하 9장) 본문

강해시리즈/다윗의 생애 (Life of David)

[The Life of David163] 므비보셋에게 친절을 베풂 1(사무엘하 9장)

En Hakkore 2024. 2. 26. 08:33

언약의 은혜

그러나 여기에서 우리는 다윗을 움직였던 동기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의 예표적 인물에게서 나타나는 이런 모습은 매우 아름답다. "사울의 집에 아직도 남은 사람이 있느냐 내가 요나단으로 말미암아 그 사람에게 은총을 베풀리라." 바로 그것이 다윗 왕으로 하여금 그의 공공연한 적의 후손에 자비를 베풀게 했던 원인이었다.

비록 사울 집안의 생존자 자신에게는 왕에게서 호의를 얻을 만한 한 것이 아무것도 없을지라도, 다윗은 자신이 그에게 호의를 베풀 이유를 그 사람 밖에서, 즉 자기와 요나단 사이에 존재하는 사랑과 우정의 끈 안에서 찾았던 것이다. 이것은 다윗의 대형이셨던 분에게서도 마찬가지다.

"우리도 전에는 어리석은 자요 순종하지 아니한 자요 속은 자요 여러 가지 정욕과 행락에 종 노릇 한 자요 악독과 투기를 일삼은 자요 가증스러운 자요 피차 미워한 자였으나 우리 구주 하나님의 자비와 사람 사랑하심이 나타날 때에 우리를 구원하시되 우리가 행한 바 의로운 행위로 말미암지 아니하고 오직 그의 긍휼하심을 따라 중생의 씻음과 성령의 새롭게 하심으로 하셨나니"(딛 3:3-6).

하나님이 자기 백성에게 은혜를 베푸시는 것은 다른 누군가 때문이다. "하나님이 그리스도 때문에 너희를 용서하신 것처럼"(엡 4:32, KJV, even as God for Christ's sake hath forgiven you - 역주).

한 가지 추가적인 요소가 이 요점을 완성시키는데, 그것은 아주 놀라운 요소다. 사울의 가신이었던 시바가 다윗에게 불려왔을 때, 다윗은 그에게 "사울의 집에 아직도 남은 사람이 없느냐 내가 그 사람에게 하나님의 은총을 베풀고자 하노라"(삼하 9:3) 하고 말했다.

이 말은 1절에 실려 있는 말보다 더 멀리 나간다. 이 말은 우리를 사무엘상 20장으로 돌아가게 만든다. 거기에서 우리는 요나단이 사울과 다윗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했던 것을 보게 된다(27-34절). 또한 거기에서 우리는 요나단과 다윗 사이에 맺어졌던 엄중한 "언약"에 대해 읽는다(16, 17, 42절).

그 언약을 통해 다윗은 요나단의 후손들에게 영원토록 친절을 베풀겠노라고 맹세했다. "다윗에 대한 요나단의 사랑이 그를 다시 맹세하게 하였으니 이는 자기 생명을 사랑함 같이 그를 사랑함이었더라"(17절).

다윗이 "내가 그 사람에게 하나님의 은총을 베풀고자 하노라" 라고 말했던 이유가 거기에 있었다. 하나님 자신이 그런 은총에 대한 증인 역할을 하고 계셨다. 그리고 다윗이 사울 집안에 베풀겠노라고 약속했던 은총은 바로 그런 "언약의 은총"이었다.

그러므로 다윗에게 은총을 얻은 자는 그가 행한 그 무엇이나 그 자신의 어떤 인격적 가치 때문이 아니라 전적으로 그가 태어나기도 전에 있었던 언약 때문에 그것을 얻은 셈이다. 이것은 오늘날 하나님이 값없는 주권적 은혜를 통해 다루고 계신 사람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하나님이 그들에게 은총을 베푸시는 것은 그들이 그분께 제시할 수 있는 어떤 개인적인 자격 때문이 아니라 그분이 중재자에 대해 갖고 계신 사랑 때문이다. 그것이 전부가 아니다. 아주 오래 전에, 즉 그들이 처음으로 빛을 보기도 훨씬 전에, 하나님은 그리스도와 언약을 맺으시고 그분의 집에 속한 모든 자들에게 은혜를 베푸시겠노라고 약속하셨다.

"하나님은 약속을 기업으로 받는 자들에게 그 뜻이 변하지 아니함을 충분히 나타내시려고 그 일을 맹세로 보증하셨나니 이는 하나님이 거짓말을 하실 수 없는 이 두 가지 변하지 못할 사실로 말미암아 앞에 있는 소망을 얻으려고 피난처를 찾은 우리에게 큰 안위를 받게 하려 하심이니라"(히 6:16-18).

하나님이 자신의 뜻을 행하게 하시기 위해 자기 백성들을 모든 선한 일에 온전하게 하시는 것은 "영원한 언약의 피"를 통해서다(히 13:20, 21).💕

Arthur W. Pink 다윗의 생애2 p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