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 Hakkore

[The Life of David160] 정복2(사무엘하 8장) 본문

강해시리즈/다윗의 생애 (Life of David)

[The Life of David160] 정복2(사무엘하 8장)

En Hakkore 2024. 2. 26. 08:31

모압 정복의 예표적 의미

"다윗이 또 모압을 쳐서"(삼하 8:2a).

이 구절을 우리 자신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구약 성경의 앞 부분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 창세기 19장 36-37절에서 우리는 모압이 타락한 롯이 근친상간을 통해 낳은 아들이었음을 배울 수 있다. 그들의 영토는 가나안 땅과 인접해 있었고, 요단강이 그들을 갈라놓고 있었다(민 22:1; 31:12).

발람을 시켜서 이스라엘을 저주하게 했던 것은 모압 왕 발락이었다(민 22:4-5). 모압 땅은 이스라엘 자손들에게는 일종의 덫이었다(민 25:1). 또 그것은 나오미와 그녀의 가족들에게도 덫이었다(룻 1:1).

사사 시대에 하나님은 모압 사람들을 그분의 엇나가는 백성들을 징계하기 위한 회초리 중 하나로 사용하셨다(삿 3:12-14). 모압 사람들은 십 대가 지나갈지라도 여호와의 총회에 들어올 수 없었다(신 23:3). 그리스도께서 그들을 "치시리라"는 예언이 있었다(민 24:17).

성경에 나오는 그들에 대한 마지막 언급 속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읽는다. "장차 모압은 소돔 같이 될 것이다"(습 2:9).

이상의 사실로부터 우리는 모압 사람들이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위협이 되었다는 것과 그 두 민족 사이에 교제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는 것은 분명하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우리가 분명하게 해줄 필요가 있는 것은, 모압 사람들이 정확하게 무엇을 상징하느냐 하는 것이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들은 하나님을 떠난 세상을 상징한다. 보다 특별하게는 교회와 인접한 세상, 즉 계속해서 하나님의 백성들을 그들의 유업에서 떠나 자기네 수준으로 내려오도록 유혹하는 세상을 상징한다. 모압 사람들은 태생적으로 그리고 자연적으로 이스라엘과 가까웠다.

그들 사이에는 오랜 그리고 강력한 경계선이 있었다. 그 경계선은 바로 죽음의 강인 요단강이었다. 하나님의 백성들이 그들의 영토 속으로 들어가려면 요단강을 건너야만 했다. 그러므로 모압은 교회와 인접한 세상을 예표한다. 다시 말해, 모압은 거룩한 일들에 대한 일종의 세속적인 고백(woridly profession)을 대표한다.

"그러나 내게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외에 결코 자랑할 것이 없으니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세상이 나를 대하여 십자가에 못 박히고 내가 또한 세상을 대하여 그러하니라"(갈 6:14).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요단강의 대형(對型, Antitype)이다. 그리스도인이 세상과 구별되는 것은 십자가 때문이다. 십자가의 원리, 즉 자기희생과 죄에 대한 죽음의 원리가 그리스도인을 다스리는 동안, 그는 세상의 감언이설로부터 보호된다. 그러나 십자가의 원리, 즉 죽음과 자기 부정이 우리를 지배하기를 그칠 때, 우리는 아름다운 "모압 여자들"에게 넘어가 그들과 더불어 영적 간음을 행한다(민 25:1).

다시 말해, 우리의 증언은 알맹이 없는 고백으로 타락하고, 우리는 하늘의 순례자가 되기를 그치고, 소중한 경건은 과거의 유물이 되고 만다. "우리로 하여금 우리의 참된 집을 잊게 만드는 세상의 모든 매력적인 기쁨은 '모압 여자들'이다"(F. C. Jennings).

"다윗이 또 모압을 쳐서."

이 구절을 오늘날의 우리에게 영적으로 적용해 보자.

우리는 배교한 기독교계와 단호하게 갈라서야 하고, 우리로 하여금 세상적인 교회들과 시시덕거리게 만드는 우리 안에 있는 모든 갈망들을 가차 없이 죽여야 한다. 하나님의 자녀가 모압의 세력권 안으로 들어가는 것은 그의 유용성과 능력과 기쁨을 비참함과 무능과 불명예로 대체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다음과 같은 단호한 명령에 순종해야 할 긴급한 필요가 있다. "경건의 모양은 있으나 경건의 능력은 부인하니 이같은 자들에게서 네가 돌아서라"(딤후 3:5).

이것은 우리가 마치 구약 시대의 이스라엘 사람들처럼 오늘날의 모압인들과 싸워야 한다는 뜻이 아니라, 세상의 매력적인 것들에 대한 우리의 갈망을 억눌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윗이 "모압 사람들 중 삼분의 일을 살려 주고"(삼하 8:2 난외주 참고-역주) 그들로부터 조공을 받은 것 때문에 발생한 슬픈 결과는 열왕기하 3장 4-5절과 그 이하의 이야기들을 통해 잘 드러난다.

Arthur W. Pink 다윗의 생애2 p205

• 민수기 25장 1절.
"이스라엘이 싯딤에 머물러 있더니 그 백성이 모압 여자들과 음행하기를 시작하니라"

• 룻기 1장 1절.
"사사들의 치리하던 때에 그 땅에 흉년이 드니라 유다 베들레헴에 한 사람이 그 아내와 두 아들을 데리고 모압 지방에 가서 우거하였는데"

• 신명기 23장 3절.
"암몬 사람과 모압 사람은 여호와의 총회에 들어오지 못하리니 그들에게 속한 자는 십대 뿐아니라 영원히 여호와의 총회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 민수기 24장 17절.
"내가 그를 보아도 이 때의 일이 아니며 내가 그를 바라보아도 가까운 일이 아니로다 한 별이 야곱에게서 나오며 한 홀이 이스라엘에게서 일어나서 모압을 이편에서 저편까지 쳐서 파하고 또 소동하는 자식들을 다 멸하리로다"

•스바냐 2장 9절.
"그러므로 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말하노라 내가 나의 삶을 두고 맹세하노니 장차 모압은 소돔 같으며 암몬 자손은 고모라 같을 것이라 찔레가 나며 소금 구덩이가 되어 영원히 황무하리니 나의 끼친 백성이 그들을 노략하며 나의 남은 국민이 그것을 기업으로 얻을 것이라"

• 열왕기하 3장 4-5절.
"모압 왕 메사는 양을 치는 자라 새끼 양 십만의 털과 수양 십만의 털을 이스라엘 왕에게 바치더니 아합이 죽은 후에 모압 왕이 이스라엘 왕을 배반한지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