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 Hakkore

[산상수훈 71] 본문

강해시리즈/산상수훈 강해 (Sermon on the Mount)

[산상수훈 71]

En Hakkore 2024. 7. 13. 22:49

율법과 맹세 2(마 5:33-37)

"또 옛 사람에게 말한 바 헛 맹세를 하지 말고 네 맹세한 것을 주께 지키라 하였다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도무지 맹세하지 말지니 하늘로도 하지 말라 이는 하나님의 보좌임이요 땅으로 하지 말라 이는 하나님의 발등상이이요

예루살렘으로도 하지 말라 이는 큰 임금의 성임이요 네 머리로도 하지 말라 이는 네가 한 터럭도 희고 검게 할 수 없음이라 오직 너희 말은 옳다 옳다, 아니라 아니라 하라 이에서 지나는 것은 악으로부터 나느니라"(마 5:33-37)

앞 장에서 우리는 이 구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거기에서 우리는 주님께서 어떻게 서기관들의 악한 꾀와, 바리새인들과 그들을 따르는 자들의 악한 행위에 대하여 정죄하셨는가를 살펴보았다.

이제는 그 주제를 총괄적으로 살펴보려 하는데, 왜냐하면 오늘날은 이 주제 전체에 대하여 성경적으로 강조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너는 네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게 부르지 말라 여호와는 그의 이름을 망령되게 부르는 자를 죄 없다 하지 아니하리라"(출 20:7)

이것은 맹세라는 문제에 대한 하나님의 기본적인 계율이며 이 맹세의 금지의 범위와 그것의 의미의 한계는 지금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광범위하다.

"주의 계명들은 심히 넓으니이다"(시 119:66) 라고 구약시대의 다윗이 말하였는데, 그리스도의 가르침은 이것이 명백하게 나타내 준다.

앞 장을 주의 깊게 읽은 사람들은 이 설교를 통하여, 구세주께서는 우리에게 십계명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지극히 중요하고 귀중한 몇 가지 규칙들을 마련해 주셨음을 기억할 것이다.

첫째로, 하나님께서 어떤 한 가지 죄를 금하실 때에는 그것은 그와 같은 종류의 모든 죄의 원인과 그 상황을 금하는 것이다.♡

둘째로, 어떤 계명을 깨뜨리든지 거기에는 저주가 따르며 이 저주는 정확하게 표현되어 있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

셋째로, 어떤 악이 정죄되어진 곳에서는 그와 반대되는 선이 명령되어진 것이다.

하나님께서 "심판하지 말라" 고 말씀하셨을 때, 하나님은 살인의 명백한 행위를 금하신 것뿐만 아니라 살인을 일으킬 수 있는 마음과 생각의 모든 악한 작용 곧 모든 증오, 분노, 도발적인 말, 또는 몸짓까지도 정죄하셨다.

하나님께서 "간음하지 말라"고 말씀하셨을 때, 하나님은 부도덕한 실제 행위를 금하신 것뿐만 아니라 모든 부당한 정욕과 욕망들, 불순한 모든 생각과 상상 또한 금하셨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나님이 "너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지 말라"고 말씀하셨을 때,

그는 하나님의 거룩한 칭호를 저주하는 데에 사용하는 악한 죄를 꾸짖으시고 거짓 맹세의 죄를 범치 말게 금하신 것뿐만 아니라, 그의 피조물 중 어떤 것으로도 맹세하지 말고 또한 모든 터무니없는 빈 말을 정죄하시고 불필요한 맹세를 하지 말도록 하셨다.♡

학자들은 히브리어로 맹세라는 말은 셰브아(Shebuah)로서 이것은 두 가지 의미가 있다고 한다.

첫째로, '맹세하다,는 동사는 오직 나팔(niphal), 즉 수동형으로만 쓰여졌는데, 이것은 우리가 맹세할 때에는 수동적이어야 한다. 즉 맹세하지 않으면 안 될 때에, 또는 최소한 어쩔 수 없이 그렇게 하도록 하는 상태에서만 맹세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맹세하지 않으면 안 될 때에, 또한 최소한 어쩔 수 없이 그렇게 하도록 하는 상태에서만 맹세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의미심장하게도 이 히브리말은 '일곱' 을 뜻하는 어근에서 취해졌는데,

이것은 아마도 많은 증인들 앞에서 맹세를 해야 한다는 것을 뜻할 것이며, 일곱이라는 숫자는 신성하고 완전함을 뜻하므로 맹세의 명사형이 이것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여러 의견 차이에 대한 완전하나 결말을 가져오는 것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헬라어로는 호르코스라고 불리어졌는데, 이것은 아마도 '묶다' 혹은 '강화하다'는 뜻의 어근에서 취해진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맹세로써 사람은 자기 영혼에 대해 쉽게 풀리지 않는 증거의 띠를 메는 것이기 때문이다. 라틴어의 juro와 jus juradum은 분명히 jus에서 유래되었는데 이것은 '권리와 법률'이라는 뜻이다.

Arthur W. Pink 산상수훈  p136

'강해시리즈 > 산상수훈 강해 (Sermon on the Mou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상수훈 73]  (0) 2024.07.13
[산상수훈 72]  (0) 2024.07.13
[산상수훈 70]  (0) 2024.07.13
[산상수훈 69]  (0) 2024.07.13
[산상수훈 68]  (0) 2024.07.13